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네트워크 3
    CS지식/네트워크 2023. 3. 30. 07:19

    패킷 스위칭

    패킷:작은 블록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에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는 방법.

    대부분의 패킷스위치는 Store-and-foward transmission을 사용한다.  Store-and-foward transmission은 패킷스위치는 첫번째 비트를 아웃바운드 링크로 보내기 전에 반드시 전체 패킷을 받아야함을 뜻한다.

     

     

     

     

    슬래브의 너비는 패킷의 비트수를 나타낸다. 이 그림에서 모든 패킷의 너비가 같으므로 길이가 같다. 호스트 A와 B가 호스트 E로 패킷을 보내고자 한다면, 먼저 패킷을 100MBps이더넷 링크를 따라 첫번째 라우터로 보낸다. 그 다음 라우터는 이 패킷을 15Mbps링크로 보낸다. 라우터에 대한 패킷도착속도가 15Mbps를 초과하는 경우, 링크로 전송되기전에, 링크의 출력 버퍼에 있는 패킷큐(패킷대기열)의 ㅡ라우터에서 정체가 발생한다.

     

    🤔 라우터란?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한다. 이 경로를 따라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킨다. 최적의 경로는 최단거리보다는 제일 빠른 거리이다.

    즉 들어온 패킷을 목적지 방향으로 보내는 것이다.(최적의 경로로!)

    ?라우팅테이블: 목적지 주소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시키는 목적

     ?포워딩: 패킷을 라우터 외부링크까지 옮기는 작업

     

    큐잉딜레이

    링크가 내보내는 속도보다 들어오는 양이 많을 경우에 버퍼에 패킷을 쌓아놓는다. 이때 생긴 큐(대기열)에서 발생하는 딜레이를 큐잉딜레이라고 한다. 버퍼가 가득차면 로스가 발생한다.

     

    트랜스미션딜레이

    피지컬 링크에 올라가는데 지연되는 시간 거리가 늘어갈수록 점점 늘어감!!

     

    프로파게이션 딜레이: 빛의 속도...???(전송속도 지연)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

Designed by Tistory.